회원가입 완료된 유저의 데이터를 조회/수정/추가/삭제하는 기능들을 구현했습니다.
내 정보 조회
•
현재 DB에 저장된 유저의 정보를 보여줍니다.
내 정보 수정
•
내 정보 수정
정보 수정 시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수정할 수 있으며 변경을 희망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정보 그대로 DB에 입력하게 됩니다. 이때 “4번 Save”를 누르면 변경 사항이 저장되고 “5번 Prev”를 누르면 이전 “내 정보 조회”로 돌아갑니다.
•
프로필 사진 추가 및 수정, 삭제
◦
사진 추가
회원가입 하면서 등록한 사진 외의 추가로 사진을 등록하길 원한다면 “1번 추가”처럼 빈 틀을 클릭하면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.
◦
사진 수정
또한 기존의 사진을 수정하고 싶은 경우 “2번 수정”과 같이 기존의 사진을 클릭하면 사진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했습니다.
◦
사진 삭제
사진을 삭제할 경우 “3번 삭제”의 아이콘을 누르게 되면 DB 및 S3에서 해당 이미지가 삭제되어 사라지게 됩니다.
유저 위치정보 업데이트
•
유저는 본인의 위치를 저장합니다.
◦
위치정보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면, 자신의 현재 위치 값(위도, 경도)을 DB에 입력하게 됩니다.
◦
해당 정보는 “매칭 선호도” 설정에서 “거리별 필터링”에서 사용됩니다.
비밀번호 변경
•
비밀번호 수정
◦
“현재 비밀번호”가 일치해야 됩니다.
◦
“새 비밀번호”는 “현재 비밀번호"와 달라야 합니다.
◦
“새 비밀번호”와 “새 비밀번호 확인”이 일치해야 합니다.
Background Task
AWS S3 이미지 업로드
이미지 업로드를 위하여 AWS S3를 사용했습니다. 총 5가지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1. 많은 저장 공간
•
유저의 인원수가 증가함에 따라 1인 최대 4개의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는데 저장공간에 대한 걱정을 배제하기 위해서 사용했습니다.
2. 안전한 보관 기능
•
AWS S3의 특성상 데이터베이스의 사본을 많이 만들어 내서 데이터 유실의 걱정이 없습니다.
3.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
•
S3는 Amazon CloudFront와 같은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(CDN)와 연계하면 단순히 접근이 쉬울 뿐만 아니라, 전 세계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파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4. 자동 백업 및 버전 관리
•
차후 실수로 데이터를 유실했을 때 자동 백업 기능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다시 소생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실의 걱정이 없습니다.
5. 확장성과 통합성
•
나중에 여러 가지 데이터 서비스와 연계를 맻을 때 AWS의 다른 서비스와 잘 통합돼서 사용할 수 있어요. 그 예로 AWS Lambda라는 서비스와 연결해서 자동으로 처리하거나, Amazon CloudFront를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.
해결해야 할 사항
파일 이름이 한글인 이미지를 업로드 할 때 글씨가 깨져서 파일의 확인이 어렵습니다.